우리의 전통차(다신전과 동다송) 26

베트남에서 히트하는 한국과일

“베트남은 설 명절인 ‘뗏’ 기간에 고급 과일을 제사상에 올리는 문화가 있는데 이때 한국 과일을 주로 사용한다”고 했다.지난해 1월부터 베트남 롯데마트에서 판매된 한국 과일 6종(딸기, 샤인머스캣, 배, 사과, 감, 참외)의 누적 매출은 2023년 대비 20% 증가했다. 딸기와 샤인머스캣이 매출 1, 2위를 차지했고 최근 참외도 잘 팔린다.롯데마트 과일 상품기획자는 “성주 참외는 닷새 만에 베트남에 도착한다”며 “참외 포장지에도 한국어로 상품명을 표기해 K과일임을 강조한다”고 말했다.◇한국에서 가장 많이 재배하는 참외성주 참외는 지역 특산물을 넘어 K과일의 대표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베트남 외에 일본 호주 싱가포르 등에 수출된다. 특히 일본 수출은 10년 이상 지속해 코스트코, 지역 슈퍼마켓 등 판매..

茶盞(차 잔) 20. 차 잔 ~ 分茶盒(분차합) 22. 차 나눔 그릇

茶盞(차 잔) 20. 차 잔 잔 이 설 백 자 위 상 ( 盞以雪白者爲上. ) 잔은 雪白 色을 으뜸으로 삼고, 람 백 자 불 손 다 색 ( 藍白者不損茶色. ) 람백색은 차 빛깔을 손상치 않으니, 차 지 ( 次之. ) 버금간다. 拭盞布(식잔포) 21. 잔 행주 음 다 전 후 ( 飮茶前後. ) 차 마시기 전후에, 구 용 세 마 포 식 잔 ( 俱用細麻布拭盞. ) 세마포를 잔 행주로 갖추어 쓴다. 기 타 이 예 ( 其他易穢. ) 그 밖에는 더럽혀지기 쉬우므로, 불 의 용 ( 不宜用. ) 쓰기에 걸맞지 않다. 分茶盒(분차합) 22. 차 나눔 그릇 (本項은 茶神傳에 빠짐) 이 석 위 지 ( 以錫爲之. ) 주석으로 만들어, 종 대 담 중 분 용 ( 從大 中分用. ) 큰 단지 안에서부터 나누어 쓴다. 용 진 재 취 ( ..

茶具(다 구) 19. 차 도구

茶具(다 구) 19. 차 도구 상 저 옹 자 다 용 은 표 ( 桑苧翁 煮茶用銀瓢. ) 상저옹①은 '차 달임에 은 표주박을 쓰는 것은, 위 과 어 사 치 ( 謂過於奢侈. ) 이른바 사치스러움이 지나치니, 후 용 자 기 ( 後用磁器. ) 뒤에는 瓷器를 쓰게 되나, 우 불 능 지 구 ( 又不能持久. ) 또한 오래 가지를 못하므로, 졸 귀 우 은 ( 卒歸于銀. ) 끝내는 은으로 돌아간다' 했다. 우 의 은 자 ( 愚意銀者. ) 내 생각으로는 은이란 것은, 의 저 주 루 화 옥 ( 宜貯朱樓華屋. ) 朱樓華屋(주루화옥)②에 저장해야 마땅한데, 약 산 재 묘 사 ( 若山齋茨舍. ) 山齋나 茨(묘자)③에서는, 유 용 석 표 ( 惟用錫瓢. ) 오직 주석 茶罐을 사용함이, 역 무 손 우 향 색 미 야 ( 亦無損于香, 色,..

貯水(저 수) 18. 물 저장

貯水(저 수) 18. 물 저장 저 수 옹 수 치 음 정 중 ( 貯水甕須置陰庭中. ) 항아리는 반드시 그늘진 뜰에 두고 물을 저장하여, 부 이 사 백 ( 覆以紗帛. ) 깁 비단을 덮으면, 사 승 성 로 지 기 ( 使承星露之氣. ) 별과 이슬의 기운을 받음으로 , 즉 영 령 불 산 ( 則英靈不散. ) 곧 훌륭한 영기가 흩어지지 않고, 신 기 상 존 ( 神氣常存. ) 신기로움이 항상 보존된다. 가 령 압 이 목 석 ( 假令壓以木石. ) 가령 나무나 돌로서 누르거나, 봉 이 지 약 ( 封以紙 . ) 종이나 죽순껍질로서 봉하여, 폭 어 일 하 ( 暴於日下. ) 햇빛 아래에서 볕 쪼이면, 즉 외 모 기 신 ( 則外耗其神. ) 신령함이 밖으로 흩어지니, 내 폐 기 기 ( 內閉其氣. ) 안으로 그 기운이 막혀서, 수 ..

井水不宜茶(정수불의차) 17. 우물물은 차에 적합하지 않다

井水不宜茶(정수불의차) 17. 우물물은 차에 적합하지 않다 다 경 운 산 수 상 ( 茶經云. 山水上. ) "다경"에 이르기를 '산수가 위요, 강 수 차 정 수 최 하 의 ( 江水次. 井水最下矣. ) 강수가 버금, 정수가 가장 아래' 라 했다. 제 일 방 불 근 강 ( 第一方不近江. ) 제일 방안은 강이 가깝지 않거나, 산 졸 무 천 수 ( 山卒無泉水. ) 마침 산에 샘물이 없으면 , 유 당 다 적 매 우 ( 惟當多積梅雨. ) 오직 장마 비를 많이 담아둠이 마땅하다. 기 미 감 화 ( 其味甘和. ) 그 맛이 달고 和裕(화유)하여, 내 장 양 만 물 지 수 ( 乃長養滿物之水. ) 길이 萬物을 養育하는 물이다. 설 수 수 청 ( 雪水雖淸. ) 雪水는 비록 맑으나, 성 감 중 음 ( 性感重陰. ) 성미가 무겁고..

마음의 찻잔을 앞에 놓고

도공은 흙을 이해하고 사랑하므로 그의 뜻을 밝히고 차인은 차를 마시는 사람의 마음과 몸을 배려하므로 뜻을 세운다. 진정한 도공에겐 우리 차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자연을 사랑하고 우주의 법칙을 배우는 공부가 멈추지 않고 있다. 찻그릇을 굽는 그분들의 마음 깊이는 알 수가 없고 그의 지식 또한 하늘과 가까이 있다 여긴다. 제대로 찻그릇을 굽어 내고 있는 것이리라. 흙을 귀한 자식처럼 다독거려 다듬어 물 한 방울 새지 않는 자기를 만들어 가는 그 들의 마음과 예술혼은 단단하고 물 샐 틈 없는 것을 느낀다. 도공의 맑은 정신이 흙에 스며 보름달 같은 항아리가 나오고 우윳빛 다기가 나오고 우리 차문화의 정취가 스민 도판 회화 작품이 나올 적이면 그 것은 작품이 아니고 우리 삶의 교훈이 되는 것이다. 흙에서 하늘의 ..

品泉(품 천) 16. 샘물 품 수

品泉(품 천) 16. 샘물 품 수 다 자 수 지 신 ( 茶者水之神. ) 차는 물의 신이요, 수 자 다 지 체 ( 水者茶之體. ) 물은 차의 몸이니, 비 진 수 막 현 기 신 ( 非眞水莫顯其神. ) 眞水 아니면 신기가 나타나지 않고, 비 정 다 갈 규 기 체 ( 非精茶曷窺其體. ) 精茶 아니면 몸을 어찌 엿보랴. 산 정 천 청 이 경 ( 山頂泉淸而輕. ) 산 정수리 샘물은 맑고 가벼우며, 산 하 천 청 이 중 ( 山下泉淸而重. ) 산 아래 샘물은 맑고 무거우며, 석 중 천 청 이 감 ( 石中泉淸而甘. ) 석간수는 맑고 달며, 사 중 천 청 이 렬 ( 沙中泉淸而冽. ) 모래 속 샘물은 맑고 차가우며, 토 중 천 염 이 백 ( 土中泉淡而白. ) 흙 속 샘물은 묽고 희다. 류 우 황 석 위 가 ( 流于黃石爲佳...

品泉(품 천) 16. 샘물 품 수

品泉(품 천) 16. 샘물 품 수 다 자 수 지 신 ( 茶者水之神. ) 차는 물의 신이요, 수 자 다 지 체 ( 水者茶之體. ) 물은 차의 몸이니, 비 진 수 막 현 기 신 ( 非眞水莫顯其神. ) 眞水 아니면 신기가 나타나지 않고, 비 정 다 갈 규 기 체 ( 非精茶曷窺其體. ) 精茶 아니면 몸을 어찌 엿보랴. 산 정 천 청 이 경 ( 山頂泉淸而輕. ) 산 정수리 샘물은 맑고 가벼우며, 산 하 천 청 이 중 ( 山下泉淸而重. ) 산 아래 샘물은 맑고 무거우며, 석 중 천 청 이 감 ( 石中泉淸而甘. ) 석간수는 맑고 달며, 사 중 천 청 이 렬 ( 沙中泉淸而冽. ) 모래 속 샘물은 맑고 차가우며, 토 중 천 염 이 백 ( 土中泉淡而白. ) 흙 속 샘물은 묽고 희다. 류 우 황 석 위 가 ( 流于黃石爲佳...

味(미) 13. 맛,點染失眞(점염실진) 14.茶變不可用(다변불가용) 15.

味(미) 13. 맛 미 이 감 윤 위 상 ( 味以甘潤爲上. ) 맛이 달고 보드라우면 위이고, 고 삽 위 하 ( 苦澁爲下. ) 쓰고 떫으면 아래이다. 點染失眞(점염실진) 14. 더럽히면 본래의 성품을 잃음 다 자 유 진 향 ( 茶自有眞香. ) 차는 자연의 진향이 있고, 유 진 색 유 진 미 ( 有眞色. 有眞味. ) 진색이 있고, 진미가 있는데, 일 경 점 염 변 실 기 진 ( 一經點染. 便失其眞. ) 한 번 오점과 오염을 겪으면, 곧 그 진성을 잃는다. 여 수 중 착 함 ( 如水中著鹹. ) 만일 물에 소금기가 녹아있거나, 다 중 착 료 ( 茶中著料. ) 차에 먹을거리가 섞였거나, 완 중 착 과 ( 碗中著果. ) 사발 안에 과실 기가 붙어 있으면, 개 실 진 야 ( 皆失眞也. ) 다 진성을 잃는다. 茶變不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