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茶具(다 구) 19. 차 도구우리의 전통차(다신전과 동다송) 2020. 5. 26. 08:36
茶具(다 구) 19. 차 도구
상 저 옹 자 다 용 은 표 ( 桑苧翁 煮茶用銀瓢. )
상저옹①은 '차 달임에 은 표주박을 쓰는 것은,
위 과 어 사 치 ( 謂過於奢侈. )
이른바 사치스러움이 지나치니,
후 용 자 기 ( 後用磁器. )
뒤에는 瓷器를 쓰게 되나,
우 불 능 지 구 ( 又不能持久. )
또한 오래 가지를 못하므로,
졸 귀 우 은 ( 卒歸于銀. )
끝내는 은으로 돌아간다' 했다.
우 의 은 자 ( 愚意銀者. )
내 생각으로는 은이란 것은,
의 저 주 루 화 옥 ( 宜貯朱樓華屋. )
朱樓華屋(주루화옥)②에 저장해야 마땅한데,
약 산 재 묘 사 ( 若山齋茨舍. )
山齋나 茨(묘자)③에서는,
유 용 석 표 ( 惟用錫瓢. )
오직 주석 茶罐을 사용함이,
역 무 손 우 향 색 미 야 ( 亦無損于香, 色, 味也. )
역시 향기, 빛깔 맛에 損失이 없다.
단 동 철 기 지 (但銅鐵忌之. )
다만 구리와 쇠는 삼갈 것이다.
'우리의 전통차(다신전과 동다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茶道(다 도) 23. 차의 도리와 절제 (0) 2020.05.29 茶盞(차 잔) 20. 차 잔 ~ 分茶盒(분차합) 22. 차 나눔 그릇 (0) 2020.05.27 貯水(저 수) 18. 물 저장 (0) 2020.05.25 井水不宜茶(정수불의차) 17. 우물물은 차에 적합하지 않다 (0) 2020.05.24 마음의 찻잔을 앞에 놓고 (0) 2020.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