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貯水(저 수) 18. 물 저장우리의 전통차(다신전과 동다송) 2020. 5. 25. 08:28
貯水(저 수) 18. 물 저장
저 수 옹 수 치 음 정 중 ( 貯水甕須置陰庭中. )
항아리는 반드시 그늘진 뜰에 두고 물을 저장하여,
부 이 사 백 ( 覆以紗帛. )
깁 비단을 덮으면,
사 승 성 로 지 기 ( 使承星露之氣. )
별과 이슬의 기운을 받음으로 ,
즉 영 령 불 산 ( 則英靈不散. )
곧 훌륭한 영기가 흩어지지 않고,
신 기 상 존 ( 神氣常存. )
신기로움이 항상 보존된다.
가 령 압 이 목 석 ( 假令壓以木石. )
가령 나무나 돌로서 누르거나,
봉 이 지 약 ( 封以紙 . )
종이나 죽순껍질로서 봉하여,
폭 어 일 하 ( 暴於日下. )
햇빛 아래에서 볕 쪼이면,
즉 외 모 기 신 ( 則外耗其神. )
신령함이 밖으로 흩어지니,
내 폐 기 기 ( 內閉其氣. )
안으로 그 기운이 막혀서,
수 신 폐 의 ( 水神 矣. )
물의 신령함이 소모(消耗)된다.
음 다 유 귀 호 ( 飮茶惟貴乎. )
차를 마실 때 오직 귀중함은
다 선 수 령 ( 茶鮮水靈. )
차는 신선, 물은 신령스러움인데,
다 실 기 선 ( 茶失其鮮. )
차가 그 신선함을 잃거나,
수 실 기 령 ( 水失其靈. )
물이 그 신령함을 잃으면,
즉 여 구 거 수 하 이 ( 則與溝渠水何異. )
곧 도랑물과 무엇이 다르랴.
'우리의 전통차(다신전과 동다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茶盞(차 잔) 20. 차 잔 ~ 分茶盒(분차합) 22. 차 나눔 그릇 (0) 2020.05.27 茶具(다 구) 19. 차 도구 (0) 2020.05.26 井水不宜茶(정수불의차) 17. 우물물은 차에 적합하지 않다 (0) 2020.05.24 마음의 찻잔을 앞에 놓고 (0) 2020.05.23 品泉(품 천) 16. 샘물 품 수 (0) 2020.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