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의 자유

가상자산 커스터디 기업 인피닛블록

금강성주 2025. 5. 1. 10:19
반응형

"올해가 가상자산 업계의 '골든 타임'입니다. 이미 한국 가상자산 사업자가 많이 사라지기도, 해외로 떠나기도 했습니다. 만약 올해에도 변화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내년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더 이상 한국 시장은 가망이 없다'고 생각할 가능성이 크니까요."

가상자산 커스터디 기업 인피닛블록의 정구태 대표는 지난달 30일 머니투데이와 만나 이같이 밝혔다. 또한 "미국을 비롯해 아시아의 금융 허브로 한국과 경쟁하는 홍콩, 싱가포르 등 해외에서 가상자산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한국과 해외의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라며 한국도 가상자산 관련 제도를 명확화해 관련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피닛블록은 고객이 해킹의 위협이나 관리의 복잡함에서 벗어나 디지털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 대표는 시중은행에서 디지털금융 전략기획 업무를 담당하던 중 디지털자산의 잠재력에 주목해 인피닛블록을 창업했다. 한국핀테크산업협회 산하 '디지털자산 인프라 협의회'의 초대 회장을 맡고 있기도 하다.

 

정 대표는 가상자산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법인 계좌 허용 등 제도의 명확화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대표는 "한국은 리테일 시장이 미국 다음으로 규모가 크다고 꼽힐 정도지만 기관 시장은 걸음마 단계다. 반대로 보면 기회가 많은 것"이라며 "가상자산 시장의 투기성을 잠재우기 위해서라도 기관 시장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것이 업계가 바라는 일이기도 하다"라고 설명했다.

 

가상자산 산업 육성을 위해 혁신금융서비스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있다고 제언했다. 혁신금융서비스는 내용·방식·형태 등의 차별성이 인정되는 금융업 또는 관련 서비스에 대해 규제 적용 특례를 인정하는 제도다.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되면 2년 동안 별도의 금융업 인허가 없이 지정받은 범위 내에서 사업을 영위할 수 있다.

가상자산 산업이 고부가가치 산업인만큼 지역 균형 발전의 측면에서도 도움이 될 여지가 크다고 설명했다. 정 대표는 "한국이 지방 소멸 문제가 심각한데 특정 지역에서 가상자산과 관련된 사업을 활성화한다면 지역 균형 발전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라며 "가상자산 기업들을 유치해 국내 기업뿐만 아니라 해외 기업까지 유치할 수 있고, 지역 입장에서는 고용 창출, 세수 확대 등이 가능해질 수 있다"라고 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는 테더를 들었다. 정 대표는 "테더는 직원이 200명이 채 안 되지만 지난해 순이익이 137억달러(약 19조 4540억원)를 기록했다. 직원 한명당 생산성이 세계 최고 수준으로 금융사를 압도한다"라며 "제조업에서 비슷한 매출을 내려면 어마어마한 투자금이 들어가야 하지만 가상자산 기업은 투자 대비 영업이익률이 높기에 또 다른 기회가 될 수 있다"고 했다.

디지털자산 인프라 협의회의 초대 회장직을 1년간 지낸 정 대표는 "앞으로도 가상자산 제도의 명확화와 관련해 업계와 정부 사이의 접점을 찾아갈 것"이라며 "한국이 가상자산 사업을 하지 않더라도 어딘가에서 산업은 계속해서 발전한다. 가상자산업을 어떻게 포용해 국익에 도움이 되도록 할 것인지 함께 고민해 나가려고 한다"고 말했다.

인피닛블록의 장기적인 목표에 대해서는 "디지털 자산 기반의 은행이 되고 싶다"고 밝혔다. 정 대표는 "해외에는 미국 연방 정부의 정식 인가를 받은 가상자산 전문 은행 '앵커리지 디지털'이 있다. 이어 "가상자산 사업자가 금융업의 도움 없이도 독자적인 사업 모델을 펼쳐나가는 사례인데, 인피닛블록도 그런 회사가 되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