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泡 法(포 법) 8. 차 우리기우리의 전통차(다신전과 동다송) 2020. 5. 16. 08:08
泡 法(포 법) 8. 차 우리기
탐 탕 순 숙 변 취 기 ( 探湯純熟. 便取起. )
탕을 살펴 純熟하면, 곧 들어내고,
선 주 소 허 호 중 ( 先注少許壺中. )
먼저 다관 안에 조금 따라서,
거 탕 랭 기 경 출 ( 祛蕩冷氣. 傾出. )
냉기를 씻어버리고자, 쏟아낸다.
연 후 투 다 ( 然後投茶. )
연후에 차를 넌다.
다 다 과 의 작 ( 茶多寡宜酌. )
차가 많고 적음을 알맞게 가늠하되,
探(찾다, 살피다). 壺(병, 다관). 祛(떨어 없애다). 蕩(쓸어 없애다). 傾(기울다).
불 가 과 중 실 정 ( 不可過中失正. )
中正을 넘거나 적정을 잃으면 옳지 않다.
다 중 즉 미 고 향 침 ( 茶重則味苦香沈. )
차가 많으면 맛은 쓰고 향은 가라앉으며,
수 승 즉 포 청 기 과 ( 水勝則包淸氣寡. )
물이 많으면 泡(우린 물)는 맑으나 神氣가 부족하다.
양 호 후 ( 兩壺後. )
두 우림 뒤,
우 용 랭 수 탕 척 ( 又用冷水蕩滌. )
다시 쓸 때는 냉수로 씻어 버리고,
사 호 량 결 ( 使壺 潔. )
茶罐을 서늘하고 깨끗하게 한다.
불 즉 감 다 향 의 ( 不則減茶香矣. )
아니하면 차 향기가 減少한다.
관 숙 즉 다 신 불 건 ( 罐熟則茶神不健. )
茶罐이 뜨거우면 茶神이 건실치 않고,
호 청 즉 수 성 상 령 ( 壺淸則水性常靈. )
다관 속이 맑으면 수성 常靈한다.
초 사 다 수 충 화 ( 稍俟茶水沖和. )
조금 기다려 차와 물이 沖和한,
연 후 분 시 포 음 ( 然後分 布飮. )
연후에 베로 걸러 나누어 마신다.
거름이 빨라도 마땅치 않고, 마시기가 늦어도 마땅치 않다.
조 즉 다 신 미 발 ( 早則茶神未發. )
빠르면 차의 신기가 피어나지 않고,
지 즉 묘 복 선 소 ( 遲則妙馥先消. )
늦으면 妙香이 먼저 消滅된다.
遲(더디다, 늦다). 馥(향기 날리다). 消(사라지다).
'우리의 전통차(다신전과 동다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飮 茶(음 다) 10. 차 마시기 (0) 2020.05.18 投茶(투 다) 9. 차 넣기 (0) 2020.05.17 湯用老嫩(탕용로눈) 7. 탕으로 쓸 老 嫩 (0) 2020.05.15 湯 辨(탕 변) 6. 끊인 물 분별 (0) 2020.05.14 火 候(화 후) 5. 불 시중 (0) 2020.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