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와 80% 중에 어느 쪽에 속할 수 있을까?
파레토의 법칙을 말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80 대 20의 법칙 또는 2 대 8의 법칙이라고도 합니다. 전체 결과의 80%가 전체 원인의 20%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20%의 고객이 백화점 전체 매출의 80%에 해당하는 만큼 쇼핑하는 현상이 이를 잘 설명해 줍니다.
"이탈리아 인구의 20%가 이탈리아 전체 부의 80%를 가지고 있다."
이탈리아의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VilfredoFederico Damaso Pareto)의 이름에서 따온 경제용어입니다.
이탈리아의 저명한 후생경제학자였던 파레토는 자원 배분에 대해 깊이 연구를 하게 됩니다. 그는 이탈리아 부의 분포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인구의 20%가 국가 전체 부의 80%를 차지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 냅니다.
이후 이 용어를 경영학에 처음으로 사용한 사람은 루마니아 태생의 미국 경영컨설턴트 조셉 주란(Joseph Moses Juran)으로써 그는 20퍼센트의 주요 문제를 해결하면 나머지 80퍼센트는 저절로 해결된다는 '주요 소수와 사소한 다수'라는 주장을 펴게 됩니다. 이후 '파레토 법칙'은 경영학 분야에 도입돼 다양한 산업에서 주요한 마케팅 전략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법칙은 아직도 수많은 사회현상을 잘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앞서가는 20%와 뒤쳐지는 80%는 어떤 점이 달랐을까?
20%는 앞선 정보를 눈치 채지만 80%는 누구나 다 아는 상식이 될 때 알아봅니다. 또 20%는 핵심과 본질을 이해하고 80%는 눈에 보이는 것만 본다 합니다.
20%는 정보 분석력이 있지만 80%는 주변의 눈치만 살피는 사람들이라 말합니다. 20%는 기득권 타이밍을 알지만 80%는 그러한 공식을 모릅니다. 20%는 월스트릿저널에 물어 보고 80%는 화장실의 낙서와도 같은 네이버(군), 다음(양)에게 묻습니다. 20%는 트랜드(시대적 흐름)를 선도하지만 80%는 트랜드를 쫒아가는 사람들이라 합니다.
레코드판에서 CD로 넘어 올때도 20%는 최고의 기회라고 했지만 80%는 말도 안 된다고 했습니다. 공중전화가 없어지고 휴대전화 시대가 온다고 했을 때도 여전히 20%는 트랜드를 먼저 읽었지만 80%는 말도 안 된다고 받아들이지 않았다 합니다. 언제나 그러했듯 20%는 언제나 앞서가고 80%는 언제나 따라다닙니다.
어느 날 자신에게 다가온 삶을 통채로 바꿀 수 있는 마지막 메가톤급 찬스가 노크하는데도 의지가 없거나 의심이 많아서 또는 당장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느라 조금 더 멀리 내다보지 못합니다. 정보 분석력이 없다면 참여하는 사람들을 보라고 했습니다. 여전히 80%는 이럴 겁니다.
"에이.. 설마! 그런게 어딨냐고..? 거짓말일 거라고‥"
먼저 제 마음에 가만히 물어봅니다
"나는 20%와 80% 중에 어느 쪽에 속할 수 있을까?"



'내 삶의 나침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시간을 보다 가치있게 *** (0) | 2020.03.03 |
---|---|
老覺人生 萬事非(노각인생 만사비) (0) | 2020.02.21 |
양약은 곧 독이다. (0) | 2020.02.20 |
메모의 기술 (0) | 2019.11.30 |
시련을 이기는 사람이 영웅~ (0) | 2019.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