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의 실버입사귀 사업푸른 숲 바라보기 2020. 5. 14. 08:55
우리가 밴쳐마킹 해야 할 일본의 실버사업.
도쿠시마현 산간부의 가미카쓰(上勝)정은 인구 1570여 명의 작은 마을이다.
이 중 65세 이상 고령자가 52%를 차지한다. 일본에서 골칫거리로 지적되는 ‘한계마을’, 즉 젊은이들이 떠난 뒤 노인들만 남아 사회공동체 유지가 곤란해진 마을의 전형이라 할 만한 곳이다.
하지만 직접 가본 마을에는 활기가 넘쳤다. 정보화기기를 활용한 ‘잎사귀 비즈니스’의 성공으로 고령자들이 건강하게 일하고 있었다. 최고 연간 2000만 엔(약 2억 원)의 매출을 올리는 농가도 있었다.가미카쓰정의 잎사귀 비즈니스란 일본 요리를 장식하는 제철 잎사귀, 꽃 등 ‘장식용 야채’를 고령자들이 재배부터 출하, 판매까지 맡아서 하는 것을 말한다. 일본 요리에 쓰이는 잎사귀 종류는 320종 이상으로 사시사철 다양한 잎사귀를 출하한다. 마을에서 약 150가구, 300여 명이 이 일에 종사한다. 일손의 중심은 70대 고령자로 절반 이상이 여성이다.
산중턱에서 홀로 살며 잎사귀를 모아 납품하는 니시카게 유키요(西蔭幸代·81) 할머니도 그런 고령자 중 한 사람이다. 19일 오전 보슬비가 내리는 가운데 그는 집 근처에서 빨갛게 물든 단풍잎을 땄다. 바구니를 가득 채우는 데는 10분도 걸리지 않았다.
“요즘은 단풍잎이 인기래. 잎사귀는 곱고 가벼워서 나 같은 노인도 힘든 줄 모르고 일할 수 있어요. 정년도 없죠. 100세까지는 일하려고 해요.”니시카게 할머니는 26년 전부터 이 일을 시작했다. 본래 휴대전화도 쓸 줄 모르던 할머니가 지금은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사용한다. 내친김에 페이스북도 시작했다. 3년 전 작고한 남편이 한때 원예업을 한다고 집 근처에 다양한 나무를 심어 놓은 것이 생활의 원천이 됐다.
매일 오전 5시면 일어나 혈압을 재고 식사를 한다. 아침 드라마까지 시청한 뒤 주문이 들어오는 8시가 되기 5분 전 태블릿 앞에 대기한다. 본인이 출하할 수 있는 주문이 있으면 ‘수락’ 버튼을 누른다. 따온 잎사귀를 예쁘게 다듬어 팩에 담고 상자에 넣어 자동차로 10분 거리의 농협 지부에 가져가 등록하면 업무 완료.
이런 할머니들을 돕는 게 고령자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개발된 ‘가미카쓰 정보 네트워크’다. 태블릿 단말기로 시장 동향이나 매출, 단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납품 의사를 전달하는 시스템이다. 그날 출하할 잎사귀 양이나 출하처를 조정할 수 있으니 시장가격은 꽤 안정적인 편이다.
오전 11시경 찾아간 농협 출하장에는 잎사귀 상자를 실은 고령자들의 차량이 속속 도착했다. 단풍잎의 경우 10팩들이 한 상자에 3000엔을 받는다. 유통 과정을 거친 뒤 시장에서는 6000엔에 팔린다고 한다. 출하장에서 만난, 귀가 들리지 않는다는 한 할아버지는 이날 9상자를 출하했다. 2만7000엔. 쏠쏠한 수입이다. 9상자라 해도 할아버지가 한 손으로 번쩍 들 수 있을 정도로 가볍다.현지에서 ‘이로도리(彩)’라 불리는 잎사귀 비즈니스는 1986년 외지 출신 농협 직원이 고령자와 여성도 일할 수 있는 비즈니스모델을 찾다가 발견한 틈새시장이다. 그 직원이 현재 이로도리사의 사장인 요코이시 도모지(橫石知二·60) 씨다.
그는 초창기 힘든 시절을 이렇게 회상했다.
“농협 직원이던 20대 시절, 출장 갔던 오사카의 식당에서 접시에 장식된 단풍잎을 보고 즐거워하는 여성들을 보면서 아이디어를 떠올렸습니다. 가미카쓰정은 그해 밀감 농사를 망쳐 도탄에 빠져 있었죠. 이곳 농민들을 설득해 어렵사리 네 집이 잎사귀를 모아줬지만 출하해도 팔리지 않아 고생했습니다. 시장조사에 판로 개척 등 할 일이 많았던 거죠.”시행착오가 많았지만 지금 이 마을에서 생산하는 잎사귀들은 전국 시장의 70~80%를 차지한다.
경쟁자가 나타나지 않았을까.
“‘우리 지역에도 잎사귀가 많다’며 시찰하러 오는 분도 많았고 시장에 뛰어드는 분도 많았습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에서 (우리를) 이기지 못하는 것 같아요.”(요코이시 사장)
가미카쓰정의 무기는 이로도리사와 농협이 힘을 합쳐 수십 년간 구축한 소프트웨어다. 전국 시장과 실시간으로 연결돼 과다 출하를 막고 상품의 질을 관리한다. 이렇게 쌓은 고객과의 신뢰가 전국의 유통구조를 굳건하게 받쳐 준다.
다만 요즘은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고민이다. 특히 올해처럼 태풍이 휩쓸고 지나간 해에는 다른 지역에서 출하해 주는 것이 오히려 고맙다고 말한다.
이로도리 농가의 일하는 방식은 제각각이다. 주업으로 하는 사람도 있고 취미 삼아 쉬엄쉬엄하는 사람도 있다. 이렇게 해서 마을 전체가 연간 2억6000만 엔(약 26억 원)의 매출을 올린다. 최고 연간 2000만 엔을 버는 할머니를 필두로 매일 개인당 성적표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돼 노인들을 분발하게 한다.노인들이 바쁘게 일하니 덩달아 건강도 좋아졌다. 마을에 있던 공영 요양원은 이용자가 줄어 아예 폐쇄됐다. 대신 사설 요양원이 몇 군데 들어섰지만 최근 10년간 1인당 의료비는 도쿠시마현 내에서 최저 수준이다.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기면서 마을에는 신축 주택들이 들어서고 있다.
그럼에도 워낙 고령자가 많다 보니 종사자 수는 조금씩 줄고 있다. 대신 외지에서 젊은이들이 들어왔다. 햐쿠노 다이치(百野大地·33) 씨도 5년 전 두 자녀와 함께 이곳으로 이주해온 싱글파더다. 오전에는 잎사귀를 따고 오후에는 농사를 배우며 연간 200만~300만 엔 정도의 수입을 얻는다. 그는 “도시보다 이웃의 정이 남아 있고 생활비도 10분의 1 수준”이라고 자랑한다. 그처럼 외지에서 이주해오는 젊은이들은 매년 20명 선. 이들이 새로운 이주자들을 부르는 선순환이 생겨나고 있다.
이 마을은 소각 매립 쓰레기를 2020년까지 완전히 없앤다는 ‘쓰레기 0’ 운동으로도 2003년부터 전국에 유명해졌다. 마을 유일의 쓰레기 집하장에는 주민들이 직접 분류할 수 있도록 45종류로 세밀하게 분류된 바구니가 놓여 있다. 가령 투명한 유리병과 갈색 유리병은 재활용 경로가 다르니 분류부터 따로 한다. 이렇게 모인 쓰레기의 81%가 자원으로 재활용되고 있다.'푸른 숲 바라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족함 속의 행복 (0) 2020.05.17 불평하지 말고 감사하라. (0) 2020.05.15 일상생활 활용팁 (0) 2020.05.13 나는 나를 돌봅니다 (0) 2020.05.12 봄날의 소중한 하루 (0) 2020.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