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에 한 부잣집 노인이 창고 청소를 하기 위하여 머슴을 시켜 벼 가마니를
들어 나르는데 마지막 한 가마니를 들어내려 하자.
"그것은 그대로 놓아두라." 라고 하였다. 그래서 머슴이 "그 한 가마니는
무엇에 쓰려고 그러십니까?" 하자,
주인 노인이 말하기를 "쥐도 먹고살아야 할 것 아니냐." 라고 하셔서
그 한 가마니는 그대로 창고에 놓아두었답니다.
이러한 일이 있은 지 몇 해 후 어느 날 머슴이 마당에 나와 보니
신기한 일이 벌어졌더랍니다.
그래서 머슴은 바로 "주인어른, 좋은 구경거리가 있으니 나와 보십시오."
하고 불렀다. 이에, 부잣집 노인 부부가 방에서 문을 열고 마당에 나와 보니
글쎄 큰 쥐 한 마리가 머리에 쪽박을 둘러쓰고 뜰에서 뱅뱅 돌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이것을 신기하게 지켜보고 있는 순간, 오래된 묵은 집이 굉음을 내며 그만
폭삭 내려앉아 버렸다고 한다.그리하여 노인부부는 목숨을 구한 결과가
된것이지요
원불교 2대 종법사를 역임하신 정산 송규 종사는 이 일화를 소개하시면서
"이처럼 여유 있는 마음으로 은혜(恩惠)를 베풀면 한낱 짐승도 언젠가는
보은(報恩)을 하게 되나니라."라고 부연 법문(法門)을 해 주셨습니다.
이 이야기는 우리들도 세상(世上)을 살아가면서 부잣집 노인과 같이 여유 있는
마음과 말과 행동(行動)으로 사람은 물론, 미물 곤충까지도 恩惠를 베푸는
자비(慈悲)스러운 후덕한 사람들이 되라고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이 글을 읽으니 ''大地''의 작가 펄 벅이 ''世上에서 가장 아름다운 풍경''이라고
했던 소와 짐을 나누어 지고 가는 농부(農夫)와 늦가을 까치밥이 달린 감나무의
모습이 떠오릅니다.
우리 조상님들은 이렇게 넉넉하고 후덕한 심성으로 한갓 미물까지도 배려(配慮)
하면서 사셨는데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世上은 어떠합니까?
각설하고, 어차피 人生은 일장춘몽(一場春夢)인 것을 世上 탓하지 말고
우리네들이라도 좀 여유롭게 넉넉한 모습으로 살아갑시다!